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경제 전쟁의 승패는 다수결로 결정되지 않는다 [ASK미국 경제 - 김선무 칼럼리스트]

일본에는 화낙(FANUC)이라는 회사가 있다. 설립부터 45년을 오직 공장 자동화, 산업용 로봇에만 매진해 온 결과는 화낙의 세계 시장 점유율에 그대로 나타난다. 스마트폰 케이스 등을 정밀 가공하는 드릴 로봇은 80%, 공장 자동화에 필수인 수치제어(NC) 공작 기계는 60%, 스마트 팩토리 내부를 채우는 첨단 산업용 로봇은 20%가 화낙 제품이다. 38개 제조 공장은 일본 내에만 있다. 생산한 제품의 80%를 수출한다. 삼성, 애플은 물론 글로벌 자동차 회사들 거의 대부분이 화낙의 기기와 로봇을 사용한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S6의 몸체를 금속 재질로 바꾸기로 한 뒤 대 당 1억 원인 화낙의 로봇을 2만 대(2조 원어치)나 구입했다. 애플은 아이폰 6 생산 공장에 화낙의 같은 제품을 10만 대나 설 치했다. 화낙 말고는 선택의 여지가 없기 때문이다. 솔직히 경쟁자가 없다. 한국기업들은 여기서 냉정하게 생각해야 한다. 안 되는 것도 있고 이미 늦은 것도 있다. 답은 연구개발의 막대한 투자가 아닌, 특권적 자산을 가진 해외 기업의 인수다. 한국은 아이디어가 있는 창조적인 제품 개발에 비해서 원천 기술을 형상화하는 제조 능력에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아시아에서는 한국 외에 일본, 중국, 대만 그리고 그 뒤로 태국, 말레이시아 가 강한 경쟁력의 제조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국의 원천기술의 형상화 기술은 우리한국의 큰 장점이며 무기이다. 최근 한국의 대표 제조기업을 표방하는 삼성전자가 저가 생활가전의 해외 위탁 생산을 추진한다고 한다. 삼성전자는 지금까지 대부분 제품을 국내 및 해외의 자체 공장에서 만들었지만 이젠 제조능력이 뛰어난 공장을 찾아 생산을 맡기겠다는 것이다. EMS (Electronics Manufacturing Service)는 바로 외부업체로부터 전자제품 제조를 수주해 전자제품만 생산하는 업체를 뜻하며 ODM 및 OEM 과는 구별된다. 또한 EMS에는 애프터 서비스도 포함된다. 나는 한국의 삼성전자가 향후 신사업으로 이 EMS 사업에 좀 더 적극적으로 뛰어들어야 한다고 기존 칼럼들을 통해 의견을 피력해 왔다. 반드시 최첨단 산업만이 기업을 이끌수 있는것은 아니다. 이미 반도체의 파운드리사업에서 삼성전자는 그 역량을 단기간에 보여 주었고 시스템 LSI(비메모리 반도체)사업부 내에 있던 파운드리 사업 팀을 사업부로 승격했다. 파운드리는 다른 기업이 설계한 반도체를 위탁받아 생산하는 사업을 말한다. 삼성의 파운드리 사업은 세계 4위권이며, 이미 매출 약 5조 원 이상으로 반도체 매출의 10% 수준 선까지 확대되고 있고 계속 성장 중이다. 이 EMS 사업에서 삼성전자는 현 상황의 돌파구를 얻었으면 한다. 인건비 상승 등으로 약해진 국내 제조 경쟁력을 베트남과 인도 및 글로벌 생산 거점의 활용을 검토 하여야 한다. 세계는 지금 군사 전쟁이 아닌 경제 전쟁의 시대다. 대한민국의 기업들은 이 전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밤잠도 자지 못하고 야간 행군 중이다. 전투의 상대는 절대 약하지 않다. 앞에서는 일본의 파나소닉, 소니(Sony), 도요타(Toyota), 후지(Fuji). 도시바(Toshiba), 미쓰비시(Mitsubishi)가 버티고 있고, 뒤에서는 대만의 폭스콘과 중국의 하이얼(Haier), 샤오미(Xiaomi), 화웨이(Huawei), 오포(OPPO) 등이 무서운 속도로 따라오고 있다. 이에 더해 미국의 GE(General Electric), 애플(Apple), 독일의 자동차 회사들과 지멘스(Siemens), 스웨덴의 일렉트로룩스(Electrolux), 네덜란드의 필립스(Philips), 프랑스의 슈나이더 일렉트릭(Schneider Electric) 등…. 이름만 들어도 숨이 벅차다 한국의 기업들은 일본. 중국, 대만과 치열한 생존경쟁을 벌이고 있고 미국과 유럽의 기업들과 힘들고 고통스러운 경쟁을 하고 있다. 현재 한일의 경제전쟁에는 허울좋은 세계경제 3위의 일본의 경제 쇠락이 주요 원인이다. 한국의 추격이 일본의 저성장 시대로 격차가 많이 좁아졌고 삼성을 위시한 한국 기업들의 급성장이 부담스러운 이유도 있다. 2018년을 기준으로 일본의 수입의존도가 높은 품목으로는 방직용 섬유제품, 화학공업, 차량 항공기, 선박과 수송기기, 플라스틱, 시멘트 ,석면, 운모, 광물성 생산품, 광학기기, 정밀기기 ,의료용 기기, 비금속과 기계류와 전자기기 부품으로 모두 90% 이상의 의존도를 보이고 있고 99.6%(방직용 섬유) 98.4%(화학공업)로 대체가 거의 불가능한 산업도 있다. 문재인 대통령의 특징은 노동의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항상 정의를 강조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다 보니 정의가 실현되면 모든 것이 해결된다는 지극히 순진한 생각을 하고 있다. 이것은 큰 문제점이다. 7월 14일부터 18일까지 방한한 이스라엘의 루벤 리블린(Reuven Rivlin) 대통령도 한국안보에 대한 문재인 대통령이 생각이 너무 순진(Naive) 하다고 지적했다. 세상은 그동안 공평치 않았다. 지난 한 세기 동안 정경유착을 통해 한국의 대기업들이 성장했다는 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오늘 우리를 태운 스마트한 플랫폼 시대는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의 연결을 요구하고 기업가들을 비교적 공정한 경기장으로 인도하고 있다. 그런데 문 대통령은 세계의 추세와는 반대로 가는 민족주의와 경제평화를 이야기하며 경제를 코끼리나 하마같이 날씬하게 만들어서 잘 비행 할수 있도록 하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또한 소득 주도 성장 정책과 국민에게 행복을 주지 못하는 정부는 안된다는 행복론까지 더해져서 국민의 귀는 즐겁긴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못하다. 일본이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후 한국의 임기응변식의 대책으로 일본의 경제보복을 이겨낼 수 있다면 잘못된 생각이다.일본이 경제전쟁을 무릅쓰고 삼성전자를 위시한 한국 기업들을 죽이기 위해 나섰는데 기존 반기업적 정책은 마치 최첨단의 일본의 파상공격에 한국 기업들에게 구식의 소총을 주며 싸우라는 것과 같다. 일본의 아베 정권은 오랫동안 한국에 복수의 칼을 갈아온 듯하다. 일본은 삼성을 위시한 한국의 주요 기업들을 정 조준하고 있다. 먼저 일본이 소재 수출의 통제를 본격화하면 시스템반도체, 수소차, 배터리, 스마트폰 등 한국의 차세대 성장 동력에 타격이 불가피한 점을 진지하게 생각하여야 한다. 문재인 정부는 일본과의 무역마찰을 지지율을 위한 수단이 아닌 국익을 위해 진지하게 생각하여야 한다. 어차피 치루워야할 승부라면 최소한 기업들이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이라도 벌어 주어야 하는 것이 정부가 사면초가에 놓인 기업들을 위해 해야만 하는 책임이다. 기업들이 연구개발을 통한 수출규제 품목의 개발 기간은 아니더라도 일본이외의 국가에서 소싱하고 테스트를 할 수 있는 시간 또는 유사한 부품과 소재의 생산기업을 인수합병할 시간 아니 검토할 수 있는 시간이라도 벌어 주어야 한다 경제전쟁의 승패는 큰 목소리와 다수결로 결정되지 않는다.

2020-02-11

이제는 가끔 멈춰 서서 하늘을 보고싶다 [ASK미국 경제 - 김선무 칼럼리스트]

얼마 전 비가 오는 광화문에 갔다. 시간이 남아서 커피숍에 들러 따뜻한 캐모마일 차 한 잔을 벤티 사이즈로 주문해서 받았다. 손으로 전해지는 종이컵의 온기가 싫지 않다. 비 때문일까? 따뜻한 차는 사람을 감성적으로 만든다. 차 한 모금을 입에 머금고 휴대폰의 음악 재생 버튼을 누른다. <종이 구름>이라는 음악이 흐르고 창밖으로 보이는 비 오는 광화문의 풍경은 ‘혼차(혼자 차 마시기)’를 하는 나에게 여유와 행복감을 준다. 이 시간이 좋다. 이어폰에서 귀로 전달되는 피아노와 어쿠스틱 기타(Acoustic Guitar)의 선율은 <종이 구름>이라는 노래 제목처럼 매우 푹신하고 편안하다. 정말 광화문은 비가 오는 데도 분주하고 바쁘다. 인터넷과 소셜미디어는 우리에게 사색의 시간을 내려놓으라고 하고 더 빨라진 일의 속도는 우리에게 더욱더 빠르게 달리라고 채찍질한다. 세상의 변화 속도보다 더 빠르게 노를 저어야 승자가 될 수 있다고. 포털의 실시간 검색어는 우리에게 지속적인 관심을 요구하고 온종일 업데이트되는 뉴스들은 우리의 시간을 가져오라고 한다. 세상이 공정별로 정해져 있는 일정을 관리하는 작업반장님도 아닌데 비가 오는 하늘을 보기는 쉽지 않다. 동네 연립주택의 주황색 벽돌이 멋있어 보인다. 아파트에 서 있는 나무의 녹색 잎을 자세히 즐기는 데는 10초도 걸리지 않는다. 만지지 않아도 이미 충분하다. 이제는 가끔 멈춰 서서 하늘을 보고 싶다. 아름다운 이 세상에서 살 수 있게 해준 고마움으로.

2020-02-11

인생은 따뜻함을 느끼기에도 길지 않은 시간이므로 [ASK미국 경제 - 김선무 칼럼리스트]

페르소나(Persona)는 심리학에서 타인에게 비치는 외적 성격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원래 페르소나는 그리스의 고대극에서 배우들이 쓰던 가면을 일컫는 말이었다. 그런데 심리학적인 용어로 심리학자 카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이 만든 이론에 쓰이면서 그 의미가 확장되었다. 그는 인간은 천 개의 페르소나( 가면) 를 지니고 있어서 상황에 따라 적절한 페르소나를 쓰고 관계를 이루어 간다고 한다. 페르소나를 통해 개인은 생활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반영할 수 있고 자기 주변 세계와 상호 관계를 성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페르소나 안에서 자신의 고유한 심리 구조와 사회적 요구 간의 타협점에 도달할 수 있어서 개인이 사회적 요구에 적응할 수 있게 해 주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게 된다고 한다. 이 페르소나의 이해는 타인의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이나 말을 이해할 수 있게 해 주는 고마운 용어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친구, 직장 동료, 공동체 구성원들과 지속적인 교류를 하며 살아간다. 직장 상사나 친구, 때로는 연예인이나 심지어는 정치인들의 언행 불일치에 실망하거나 분노할 필요는 없다. 한걸음 뒤에서 바라봐도 된다. 사람으로부터 실망할 때 페르소나를 떠올리면 우리의 삶은 타인에게 더욱 관대해진다. 이른 아침 커피의 향기는 우리를 안정시킨다. 아름다운 음악은 우리에게 평안함과 마음의 여유를 준다. 따뜻한 차의 온기는 우리의 마음을 부드럽게 해 준다. 자연을 노래한 시는 우리에게 상상의 여행을 허락한다. 새벽의 빗소리는 우리의 안락함에 감사의 마음을 느끼게 한다. 다른 사람에게 실망하거나 속상해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인생은 따뜻함을 느끼기에도 길지 않은 시간이므로

2020-02-11

오늘 나는 또 하나의 우산을 산다 [ASK미국 경제 - 김선무 칼럼리스트]

남자들은 영국의 사업가 조나스 한 웨이(Jonas Hanway)에게 고마워해야 할 것 같다. 17세기에 ‘우산은 연약한 사람들의 물건’이라는 고정관념을 깨기 위해 그는 30년간 매일 우산을 가지고 다녔다고 한다. 군인들이 그래서 우산을 쓰지 않는가 보다. 한국엔 선교사들에 의해 우산이 도입되어 1950년대는 부유층의 상징이었지만, 1960년대에 들어서는 대중화되었다고 한다. 장마철이다. 혹자는 비는 인생과도 같다고 한다. 긴 가뭄에 단비를 기대하는 사람들처럼.비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고 프랑스의 소설가 스탕달처럼 비를 고약하고 밉살스럽다고 표현한 이도 있다. 하지만 비가 우리의 감성을 자극한다는 점은 확실히 맞는 것 같다. 태풍을 동반한 비가 아니라면. 비는 사람에게 자신만의 공간을 허락한다. 무수히 많은 소설, 음악, 그림이 비와 관련된 내용인 것을 보면. 자연의 소리인 빗소리를 들으며 심리적인 안정과 위로를 얻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요즘 유튜브.페이스북등 SNS에서 빗소리를 활용한 ASMR(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방송들이 큰 인기를 얻는다고 한다. 치유를 필요로 하는 현대인들이 늘어나는가 보다. 세상은 사람과 사람을 촘촘히 연결하고 있는데 가속화가 빠른 이 시대에서 오히려 사람들의 외로움과 고립감이 더욱 늘어난다고 하니 참 아이러니하다. 하루 정도는 비를 노래한 시를 읽고, 비에 관련된 음악도 한번 들어보고, 우산을 들고 있는 아름다운 색상의 그림을 보고, 빗소리에 귀 기울여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하다. 평소 뭔가를 가지고 다니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 나는 비가 오는 날은 항상 고민이다. 신발장엔 우산이 넘치는데. 오늘 나는 또 하나의 우산을 산다.

2020-02-1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